TKDX

로그인
menu

태권도 산업의 가치구조

태권도 본질적인 가치를 기반으로 공급자와 소비자간 유기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플랫폼.
즉,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디지털사업구조 전환을 선도할 수 있는 태권도 산업화 절실
1972년 국기원을 설립, 현대 태권도의 뿌리인 강덕원, 무덕관, 송무관, 오도관, 정도관, 지도관, 창무관, 청도권, 한무관 (가나다순) 등 9개관이 참여하여 품새를 통합한 이후, 무도태권도의 가치는 2000년 시드니에서 올림픽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며 경기태권도로 확대되었습니다.
이후, 인성과 예절을 핵심 덕목으로 삼은 교육태권도를 넘어 호신까지 생활 속 깊이 자리하며 남녀노소 모두가 즐기는 문화 태권도로 진화해오고 있습니다.
무주의 태권도진흥재단과 더불어 태권도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함으로써 스포테인먼트 산업 영역으로 확장되는 가치 사슬을 구축해야 할 시점입니다.
분류 항목 도장 인원 단가 횟수 금액(백만원)
시설업 승품단 심사비 12,000 40 150,000 1 72,000
태권도원 연수 12,000 10 120,000 1 14,400
소계 86,400
용품업 태권도복
(40% 재구매 적용)
12,000 30 25,000 1 9,000
체육복
(40% 재구매 적용)
12,000 30 50,000 1 18,000
운동화
(40% 재구매 적용)
12,000 30 150,000 1 54,000
도장용품
(연 20% 교체 적용)
12,000 1 4,000,000 1 48,000
소계 129,000
교육서비스 12,000 70 100,000 12 1,008,000
동하계 캠프 15% 12,000 10 250,000 1 30,000
현장학습 30% 12,000 20 50,000 6 72,000
소계 1,110,000
총계 1,325,400